본문 바로가기

지구화3

[세계정치론] 현대주류 이론 - 신현실주의 신현실주의월츠의 구조현실주의 이론은 신현실주의 이론의 대표적인 한 갈래이다. 신현실주의의 두 번째 갈래는 조지프그리코로 대표된다. 그는 월츠의 주된 아이디어를 한스 모겐소, 레몽 아롱, 스탠리 호프만, 로버트 길핀 같은 더 전통적인 현실주의자들의 아이디어와 통합적으로 이해한다. 그래서 그는 현대 현실주의자라고 이름 붙여졌다. 신현실주의의 세 번째 갈래는 주로 안보 연구 분야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보통 공격, 방어 현실주의자라고 일컬어진다. 이 세 가지 부류의 신현실주의 이론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자. 구조현실주의월츠의 신현실주의 이론은 많은 점에서 전통적 또는 고전적 현실주의 이론과 다르다. 첫째, 현실주의는 귀납적인 이론이지만 월츠의 신현실주의는 연역적인 이론이다. 전통적 현실주의자인 모겐소는 국제정치를.. 2025. 4. 14.
[세계정치론] 자유주의 - 자유주의와 지구화 1. 자유주의와 지구화자유주의적 사고를 오늘날의 국제관계에 적용할 때, 우리는 지구화로 말미암아 부과된 문제와 가능성에 대한 두가지 대안을 발견한다. 1) 첫번째 대안 '특권의 자유주의'이러한 시각에 따르면 지구화 문제는 국제체제 핵심의 강력한 민주국가들과 굳건한 레짐, 그리고 개방된 시장과 제도들의 조합에 따라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한 전략이 실제로 작동하는 사례로서 우리는 1945년 이후 자유주의적 패권의 성공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의 학자인 존 아이켄베리는 이러한 자유주의적 질서를 옹호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근본적인 자유주의적 원칙을 규제 규칙과 국제사회 제도에 심을 기회를 가졌다. 가장 중요하게, 그리고 현실주의의 사고와는 반대로 미국은 모든 국가에게 이득이 되는 지속적인 .. 2025. 3. 20.
[세계정치론] 오늘날의 지구화 | 오늘날의 지구화 존 그레이는 2001년 9월 11일에 벌어졌던 미국에 대한 치명적인 공격을 세계 문제에서 새 시대가 열린 사건이었다고 주장했다. "지구화 시대는 끝났다" 지구화된 테러리즘의 인지된 위협에 대응해 국가들은 국경을 봉쇄하려고 했다. 더욱이 세계 금융위기에 대응하고자 여러 국가는 주요 산업들을 국제무역 경쟁에서 보호하기 위해 더 개입주의적으로 되어 갔다. 그 결과 무역, 금융, 투자의 흐름 가운데 어느 측면에서든 경제적 지구화 정도는 금세기로 전환되던 시점에 비해 의심할 여지 없이 축소되었다. 지구화 회의론자들은 이것을 자신들의 주장 근거로 삼고 있다. 회의론자들은 지구화가 매우 과장되어 왔다고 주장할 뿐만 아니라 지구화는 19세기보다 훨씬 덜 상호의존적이며 여전히 지정학과 서구 자본주의에.. 2022.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