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탕트2 [세계정치론] 냉전 - 데탕트의 부침, 제2차 냉전 | 냉전 데탕트의 부침 소련의 제3세계 혁명운동 지원은 ‘초강대국'으로서의 자신감과 제3세계가 사회주의로 바뀌고 있다는 분석을 반영한 행동이었다. 이는 서방 진영 및 중국과의 이념 경쟁으로 이어졌다. 미국은 소련의 제3세계 혁명운동 지원을 소련의 이중성을 드러내는 증거로 여겼다. 일부 미국 사람들은 1975년에 소련이 에티오피아 혁명 세력을 지원함으로써 데탕트의 종말을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어떤 사람들은 1978년에 앙골라에서 소련이 했던 역할을 인용한다. 더구나 소련이 군축 협정들을 이용해 군사적 이점을 확보하려 한다는 인식도 제3세계에서 소련이 보인 행태와 연결되었다. 이는 소련의 군사적 우위가 영향력 증가로 이어졌다는 주장이다. 비판론자들이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전략무기제한협정은 소련에게 복수개별탄.. 2022. 10. 12. [세계정치론] 냉전 - 갈등, 대결, 그리고 타협 | 냉전 1953~1969년 : 갈등, 대결, 그리고 타협 1953년의 스탈린 사망은 소련 안팎에서 중대한 결과를 예고했다. 스탈린의 최종 후계자인 흐루시초프는 소련 사회의 근대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동유럽에서 개혁주의 세력들의 분출을 도왔다. 폴란드는 진압되었으나 헝가리의 사정은 소련의 패권을 위협했다. 1956년에 적군이 헝가리에 개입함으로써 부다페스트 거리에서 유혈 사태가 벌어졌고, 소련 정부에 대해 국제적 비난이 쏟아졌다. 같은 시기에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은 이집트를 공격했는데, 이는 나세르 대통령이 수에즈 운하를 점령함으로써 촉발되었다. 영국 정부의 행동은 국내외에서 격렬한 비난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영국과 미국 사이의 특수관계’에 가장 심각한 균열을 야기했다.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은 동맹.. 2022. 10. 12. 이전 1 다음